Node.js Process 객체들
![](https://tistory1.daumcdn.net/tistory/119124/skin/images/banner_detail_event_20221114.jpg)
node.js에서 Process객체를 console.log로 출력해보면 다양한 것들이 있음을 알수 있다.
[그림 1 - process 로그 출력화면]
다양한 Process객체들의 API정보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 할 수 있으며, 예제도 있다.
- http://nodejs.org/api/process.html (바로가기)
|
node.js에서 Process객체를 console.log로 출력해보면 다양한 것들이 있음을 알수 있다.
[그림 1 - process 로그 출력화면]
다양한 Process객체들의 API정보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 할 수 있으며, 예제도 있다.
- http://nodejs.org/api/process.html (바로가기)
Node REPL(Read-Evaluate-Print-Loop)는 커맨트 창에서 "node"라고 명령어를 날리면, 실행된다.
[그림 1 - node REPL 진행화면]
[그림 1]과 같이 node명령어를 날리고, ".help"명령어를 날려 보자. (Node REPL의 모든 명령어는 "."로 시작하는 특징이 있다.)
명령어 |
내용 |
.break |
현재 구동 중인 작업을 종료하고 대기 상태로 변경합니다. |
.clear |
현재 context를 초기화합니다. 이는 Node.js를 재실행하지 않더라도 사용 중이었던 모든 변수 및 클로저 등을 깨끗이 정리해줍니다. |
.exit |
Node REPL을 종료 합니다. <Ctrl>+<D>키와 같습니다. |
.help |
도움말 메뉴를 출력합니다. |
.load |
js파일을 REPL 세션으로 적재합니다. |
.save |
현재 수행 중인 REPL 세션에서 실행하였던 모든 명령어들을 파일로 저장합니다. |
개발자라면 소스형상관리를 위해 어떻게 하면 좋을지 많이 고민할 것이다. Eclipse에서 이런 형상 관리를 위해 Git을 제공한다. 이는 별도의 서버가 없이도 로컬에서 형성관리를 할 수 있게 한다. 사용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.
[그림 1 - Team 메뉴 구성]
[그림 1]과 같이 생성된 프로젝트 루트(Root)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하면 메뉴가 나타난다. 여기서 Team > Share Project 메뉴를 클릭한다.
[그림 2 - Share Project 화면]
[그림 2]와 같이 창이 나타나면, CVS와 Git을 선택할 수 가 있다. 여기서 Git을 선택하고 "Next" 한다.
[그림 3 - Configure Git Repository 설정화면 1]
[그림 4 - Configure Git Repository 설정화면 2]
[그림 5 - Configure Git Repository 설정화면 3]
[그림 3]과 같이 화면이 나타나면 "Ues or create repository in parent folder of project" 체크 박스에 체크 상태로 만든다. 해당 내용은 이클립스 위크스페이스의 프로젝트 디렉토리 하단에 Git레파지토리를 사용 혹은 생성하겠다 라는 것 이다. 프로젝트 파일과 레파지토리가 같이 있으면 관리가 편하기 때문에 체크하는 것이 좋다. 체크 박스에 체크를 하게 되면 [그림 4]와 같이 화면이 구성되는데, 해당 프로젝트를 선택하고, 오른쪽 하단에 "Create Repository"버튼을 클릭한다. 그럼 [그림 5]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며, 여기서 "Finish"버튼을 클릭하면 모든 Git세팅이 완료된 것 이다.
[그림 6 - 프로젝트 구성화면]
[그림 6]은 Git으로 관리 되고있는 모습으로 프로젝트명에 ">"형태로 표시되는 것은 프로젝트내에 변경사항이 존재함을 의미하며, 파일의 앞에 "?"가 나타나는 것은 현재 레파지스토리에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 한다.
[그림 7 - 프로젝트 폴더]
해당 프로젝트의 폴더로 이동해 보면, .git이라는 폴더가 생긴 것을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다.
이렇게 되어 있다면, 현재 프로젝트는 Git으로 형상관리가 되고 있는 것 이다.